엠씨넥스는 2004년 12월에 설립된 비디오 및 기타 영상 기기 제조 전문 기업으로 모바일용 카메라 모듈과 차량용 카메라 모듈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2023년 11월 현재 시가총액 5348억원, 사원수 473명 규모의 중견기업이며, 코스피 시장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주요 사업 부문 현황 및 전망
- 모바일 카메라 부문
2000년부터 휴대폰에 카메라가 장착되지 시작하면서 모바일 카메라 분야는 휴대폰 시장과 함께 성장해왔습니다. 특히 기존 피쳐폰이 스마트폰으로 넘어오면서 모바일 카메라의 화질 등 성능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습니다. 엠씨넥스 역시 모바일 카메라 시장의 성장과 함께 성장해왔습니다. 특히 삼성전자라는 초대형 모바일폰 제조사에 제품을 공급하면서 매출 성장을 공고히 하였습니다.
최근 글로벌 IT 산업을 선도하던 스마트폰 시장이 점차 성숙기에 접어들고, 스마트폰 교체주기가 길어지면서 시장 성장세는 둔화된 모양새입니다. 하지만 카메라 모듈, 구동계, 생체 인식 모듈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는 엠씨넥스의 모바일 카메라 부문은 여전히 동사의 가장 큰 캐시카우 역할을 하며 신사업을 추진하는 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 2023년 상반기 매출액: 3237억원 (전체 매출의 약73%)
- 주요 고객사: 삼성전자 - 차량용 카메라 부문
엠씨넥스가 차량용 카메라 개발을 추진하던 2000년대 초반에는 일부 고급차에만 적용되고 있었으며, 전량수입에 의존하고 있었습니다. 드디어 2006년 차량용 카메라를 국산화 하였으며, 이는 지금에 이르러 자율주행차의 눈 역할을 하는 센싱카메라 개발의 밑거름이 되었습니다.그결과현대자동차그룹의1차협력사로선정되었으며,국내첫자율주행3단계차량인 기아EV9GTLine의센싱카메라를공급하고있습니다.
2023년 상반기 차량용 카메라 매출은 1135억 원으로, 지난해 상반기의 793억 원을 훌쩍 뛰어넘는 실적입니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 부문 올해 전체 매출에 대한 증권가 컨센서스(예상치 평균)은 약 2300억 원입니다. 2020년부터 이어온 매출 증가가 더욱 큰 폭으로 뛰기 시작하였습니다.
- 2023년 상반기 매출액:1135억 원(전체 매월의 약 26%)
- 최근 연간 매출액:1534억 원(2020년),1602억 원(2021년),1701억 원(2022년),2300억 원(2023년 예상치)
- 주요 고객사:현대자동차그룹,, 현대모비스, 유럽 완성차 업체(2022년 11월), 미국 완성차 업체(2023년 11월) - 신사업 부문
올해부터 3단계 자율주행에 있어 필수적인 DCU(통합제어시스템) 양산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DCU는 자동차의 엔진과 변속기 등을 제어하는 ECU(전자제어장치)를 컨트롤하는 시스템으로 자율주행의 두뇌 역할을 하게됩니다. 이로써 엠씨넥스는 기존의 차량용 카메라, ECU와 더불어 자율주행 차량의 핵심 부품을 모두 생산하는 기업이 되었습니다. 이 제품들은 2023년 하반기 부터 OEM 형태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공급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영업실적
엠씨넥스의 2021년 전체 매출액은 1조 93억원이며 영업이익은 239억원입니다. 그리고 2022년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 1086억원, 107억원입니다. 그로쓰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 매출 예상액은 1조 153억원여며, 영업이익은 236억원입니다. 지난해 대비 매출액이 다소 감소한 것은 삼성전자 스마트폰 판매량의 감소에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투자포인트 요약
- 모바일용 카메라 기업에서 차량 부품 기업으로의 성공적 전환
엠시넥스는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과 함께 동반 성장해온 기업입니다. 하지만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이 둔화됨에 따라 자사의 카메라, 영상 기술을 바탕으로 전장 카메라 사업에 진출하였습니다. 2020년 이전에는 현대모비스를 통해 국내 완성차 제초업체에 전장케메라를 공급하였습니다. 이후 2020년 현대자동차의 1차 벤더 지위를 획득하고, 현대차의 일부 모델 개발에 참여하면서 경쟁력을 키워왔습니다.2023년부터는 전장카메라 외에 지문인식모듈, 어라운드뷰 그리고 전기차용 워터펌프와 오일펌프, ECU(전자제어장치), DCU(통합제어시스템) 등의 다양한 부품을 국내외 완성차 업체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자율주행 차량 시장 성장 수혜
글로벌자율주행차량시장은조사기관마다약간의차이는있지만,일반적으로2035년까지연평균17.7%성장할것이라고합니다.글로벌완성차업체들이앞다투어자율주행3단계차량을출시하거나출시를준비하고있습니다.자율주행3단계의의미는기존2단계에비해탑재카메라의개수가15개내외로2배이상증가함을뜻합니다.이는결국임씨넥스의매출증가로이어질것으로봅니다. - 스마트폰 트렌드와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판매량 추이
여전히 회사 매출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모바일 카메라 부문은 절대적으로 삼성전자 스마트폰 판매량의 영향을 받습니다. 결국 엠씨넥스의 올 상반기 매출 부진 역시 삼성전자 스마트폰 판매 부진에 따른 것입니다. 다만 중저가 스마트폰에서도 멀티카메라 채택이 이어지는 추세는 호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분간은 스마트폰 시장의 트렌드와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판매 추이를 주의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마치며
현 시점, 엠씨넥스의 가장 큰 불안 요소는 삼성전자 스마트폰 판매에 절대적으로 의존적인 매출 구조입니다. 반면 가장 매력적인 부분은 자율주행 시장의 성장입니다. 이 두가지 요소 중 어느 것에 더 가치를 두느냐에 따라 주식 투자 진입 여부 및 진입 시기가 결정되지 않을까 싶네요. 늘 말씀드리지만 투자는 각자의 전략과 기준으로, 그리고 좋은 기업으로는 보이지만 본인과 맞지 않는 종목이라 느껴질 때는 과감히 스킵하는 결단력도 필요합니다.
'[기업 분석] 코스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등주분석] 액토즈소프트 (52790), 게임 IP 매출회사 (0) | 2023.11.10 |
---|---|
[덴티움(145720)] 국내 임플란트 상장사 1위 기업 (0) | 2023.11.09 |
[인텍플러스(064290)] 글로벌 초대형기업 인텔의 독점 공급사 (0) | 2023.11.06 |
[에코앤드림(101360)] 2차전지 글로벌 정책의 대표 수혜주 (0) | 2023.11.04 |
[넥스틴(348210)] 반도체 결함 검사 장비분야 글로벌 기업 (0) | 2023.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