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 설립되어 2017년 코스닥에 상장한 서진시스템은 5848억원 규모의 제조 기업입니다. 금형, 사출, 조립 등의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장비 및 부품 생산을 주력으로 하는 서진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기업 개요
알루미늄을 주요 원재료로 다양한 금속 응용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부문으로는 크게 기지국 관련 통신장비 부문, 에너지 저장 장치 케이스 및 구동장치 등의 ESS(Energy Storage System) 부문 그리고 반도체 관련 장비 부문과 전기자동차 & 배터리 부문 등 4개 사업 부문을 주력으로 하며, 신성장동력을 지속 발굴하여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현재 경기도 부천시에 위치한 본사를 포함하여 국내 6개, 미국 1개, 중국2개 사업장을 두고 있고 베트남에도 5개 법인을 두고 있습니다. 2023년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사업 부문별 매출 비중은 ESS 28%, 반도체장비 21%, 통신장비 20%, 전기자동차 & 배터리 13%, 기타 18%를 기록했습니다. 즉 기존의 통신장비 생산 전문기업에서 메탈플랫폼 전문기업으로 변모했습니다. 특히 ESS 매출 비중이 빠르게 올라오고 있습니다.
☞ ESS(Energy Storage System)이란? 생산된 전력을 저장 및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사업 부문별 현황 및 전망
- 통신장비
- RRH, 소형 중계기 등의 함체, DU(Digital Unit) 등 기지국 장비
- 주요고객사 : 삼성전자(삼성전자를 통해 국내 및 미국, 인도 등에 공급)
- 2022년 에릭슨향 공급 본격화 및 미국향 후지쯔 공급도 확대 예상
- 통신장비 매출액(2022년 매출비중 28.1%)
☞ 2021년 1,390억원 -> 2022년 2,213억원(역대 최대 매출) -> 2023년 2,817억원(추정) - ESS(Energy Storage System)
- 저장장치 케이스 및 구동장치, 전기차 배터리 케이스 등 신재생에너지 시장 확대 -> ESS 에너지저장장치 필수
- 주요 고객사 : 삼성SDI(전기차 배터리케이스), 플로언스에너지(신규 고객사, 2021년부터 공급)
- 글로벌 ESS Top 5 업체 중 3곳 제품 위탁 생산 중 or 생산 예정
☞ 플루언스에너지(글로벌 1위 ESS기업, 점유율 18%)는 지멘스(독일)와 AES(미국)사가 합작 설립
- ESS 매출액(2022년 매출 비중 24.1%)
☞ 2020년 304억원 -> 2021년 1,305억원 -> 2022년 1,898억원 -> 2023년 2,827억원(추정)
☞ ESS 에너지저장장치 마진율 20% 수준(2023년 예상 영업이익 560억원 추정) - 반도체 장비
- 반도체 식각/증착 장비의 구동장치, 구조물, OEM장비 등
- 주요 고객사 : 램리서치
☞ 美 램리서치, 화성공장 증설로 생산 2배 확대(2021.10.20 기사)
☞ 2022년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공급업체 등록함(아직 구체화된 제품 없음)
- 반도체 장비 부품 매출액(2022년 매출 비중 18.8%)
☞ 2021년 709억원 -> 2022년 1,478억원 -> 2023년 2,431억원(추정)
☞ 주요고객사인 램리서치는 2022년 실적이 좋았지만, 2023년 가이던스를 낮게 잡음
☞ 따라서 추정 매출액 2,431억원은 반도체 업황 변화에 따라 변동 가능 - 전기자동차 & 배터리 부품 (500억원, 반기)
- 전기자동차 배터리 팩하우징, 배터리 엔드플레이트 OEM 생산
- 주요 고객사 : 삼성SDI, VALEO 등
- 전기자동차 & 배터리 부품 매출액(2023년 반기 매출 비중 13%
투자포인트 요약
- 신사업 확장 및 수익구조 다양화
모바일 다이캐스팅 및 통신장비 전문 제조업체에서 지난 2021년부터 ESS, 전기차 부품, 반도체 장비 등의 신사업 비중이 증가하며, 매출 및 수익구조 다양화에 성공하였습니다. 특히 해당 부문들은 앞으로도 글로벌 마켓이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바, 서진시스템의 향후 행보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 ESS 수주 증가 및 글로벌 ESS 시장 성장 전망
증권사 자료에 따르면 서진시스템의 ESS 사업부의 2023년 매출액이 전년대비 약 13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는 전사 이익률 개선효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또한 글로벌 ESS시장이 2030년까지 연평균 42%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되고 있어, ESS 사업부의 매출 증가 역시 지속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실적 전망
유안타증권은 지난 6월 서진시스템의 실적 전망에 있어 2023년 전체 매출액은 전년도 대비 약 40%가 증가한 1조 938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영업이익또한 123%가 증가한 990원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하며, 아울러 현재 적자인 전기차부품 사업부 역시 매출액 성장에 힘입어 2025년에는 흑자 전환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마치며
서진시스템은 전통적인 자사 사업구조에서 신사업 위주로의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성공한 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로 인한 매출과 실적 성과가 나타나고 있고, 관련 시장과 해당 기업의 전망또한 긍정적이라고 봅니다. 다만 ESS 시장과 배터리 사업 부문은 중국과의 다툼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어느 정도의 경쟁력을 보여줄 지가 관건입니다.
'[기업 분석] 코스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이엘티(172670)] 반도체 후공정 '알짜 기업' (0) | 2023.10.11 |
---|---|
[저스템(417840)] 반도체 환경 제어의 글로벌 리더 (0) | 2023.10.10 |
[지아이이노베이션(358570)] 단백질 신약 연구개발 기업 (0) | 2023.10.09 |
[신테카바이오(226330)] AI 신약 개발 기업 (0) | 2023.10.09 |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445680)] 세포 분석의 글로벌 리더 (0) | 2023.10.09 |